리다이렉션 1. echo - 원하는 문자를 출력함 - 사용법 : echo "내용" - echo -e "내용" - 이스케이프 문자 사용 (\n이 줄바꿈 문자로 처리됨) name@E▒▒▒▒▒▒00 MINGW64 /c/Test $ echo "hello world" hello world name@E▒▒▒▒▒▒00 MINGW64 /c/Test $ echo -e "hello \nworld" hello world - echo -n "내용" - 출력문 끝에 줄바꿈 문자를 자동으로 붙이지 않음 name@E▒▒▒▒▒▒00 MINGW64 /c/Test $ echo -n "hi" > hi.txt name@E▒▒▒▒▒▒00 MINGW64 /c/Test $ echo -n " my name is" >> hi.txt name@E▒▒..
리눅스 명령어 1. ls 와 clear - ls : 특정 파일의 목록을 찾을 수 있음 (List) - ls : 그냥 파일 이름만 목록화 name@E▒▒▒▒▒▒00 MINGW64 /c/Test $ ls a.txt b.txt c/ - ls -l : 파일을 상세하게 볼 수 있음 ※ - : 파일, D : 디렉토리, L : 링크 name@E▒▒▒▒▒▒00 MINGW64 /c/Test $ ls -l total 0 -rw-r--r-- 1 Administrator 197121 0 Aug 10 16:38 a.txt -rw-r--r-- 1 Administrator 197121 0 Aug 10 16:40 b.txt drwxr-xr-x 1 Administrator 197121 0 Aug 10 16:48 c/ - ls -al ..
리눅스 1. 리눅스 - 운영체제 : 컴퓨터 자원(하드웨어)를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 운영체제는 크게 2가지로 나뉨 - 유저모드 (유저의 편의성을 위한 유틸, 소프트웨어) → GUI, CLI로 컨트롤 - 커널모드 (핵심) → 자원관리, 스케쥴링 등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 2. 리눅스의 유형 - 데스크탑 : 일반 유저를 대상 - 서버 :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PC (엔지니어, 개발자가 있음) 3. 리눅스의 특징 - 무료(오픈소스) : 소스코드가 오픈되어 있어 운영체제를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함 - 배포판이 매우 많음 (우분투, 민트, 칼리, 온프수세, centos) ※ 우분투와 centos를 대중적으로 사용 - GUI가 없는 서버용 리눅스는 상대적으로 가볍기 때문에 서버 같은 특수 목적으로 사용 4. ..
Ⅱ. 출력 함수(printf) 1. 출력 함수(printf) -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 #include int main(void) { printf("Be happy");// 문자열 출력 printf("My friend"); return 0; } // 결과 : // Be happyMy friend 2. printf 함수로 제어 문자 출력 제어문자 의미 기능 \n 개행 (New Line) 줄을 바꿈 \t 탭 (Tab) 출력 위치를 다음 탭(Tab)위치로 옮김 \r 캐리지 리턴 (Carriage Return) 출력 위치를 줄의 맨 앞으로 옮김 \b 백스페이스 (Back Space) 출력 위치를 한 칸 왼쪽으로 옮김 \a 알럿 (Alert) 경보 벨(Bell)소리를 냄 // Example #include..
Ⅱ. 튜플 & 딕셔너리 1. 튜플 자료형 - 한번 저장된 값은 수정할 수 없는 자료형 (읽기 전용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 - ( ) 안에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을 콤마(,)로 구문해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컬렉션 자료형 -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고 한 번 저장된 요소는 변경할 수 없음 - ex) 튜플명 = (값1, 값2, 값3, ...) 2. 튜플의 인덱싱(Indexing) 및 슬라이싱(Slicing) -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없다는 점만 제외하면 리스트와 완전히 동일함 # Example a = (10, 20, 30, 40) print(a[0]) # 10 print(a[-1]) # 40 print(a[1:]) # (20, 30, 40) print(a[:2]..
Ⅰ. 리스트 자료형 1. 컬렉션 자료형 - 컬렉션 -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담을 수 있음 - 변수 안에 공간을 여러 개 가짐 - 변수 안에 서로 다른 공간을 찾는 방법이 있음 2. 컬렉션 자료형의 종류 컬렉션 자료형 종류 생성방법 리스트(list) [ ] 튜플(tuple) ( ) 딕셔너리(dictionary) {키:값} 세트(set) { } 3. 리스트 자료형 - 많은 양의 데이터들을 한 번에 모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음 - 하나의 리스트 변수를 이용하여 여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 4. 리스트 문법 - 대괄호[ ] 안에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을 콤마(,)로 구분 → ex) 리스트명 = [값1, 값2, 값3, ...] - 빈 리스트 생성과 리스트 초기화 # Examp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