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추가 1. ip를 추가하는 방법 - #1. ip addr 명령을 통하여 IP와 서브넷마스크 확인 ※ 서브넷 마스크 : 호스트 이름으로부터의 IP 주소지에 대한 네트워크의 이름을 규정하는 것 - 서브넷 마스크 - ~~/24 → 255.255.255.0 - ~~/8 → 255.0.0.0 - #2. ip route 명령을 통해서 게이트웨이 IP 확인 - #3. 설정파일 수정 ((sudo) vim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 BOOTPROTO=static (dhcp 에서 static 으로 수정) - IPADDR=10.0.2.16 (제한적으로 변경가능, 파일의 최하단 부분에 추가) - GATEWAY=10.0.2.2 (정해짐, 파일의 최하단 부분에 추가)..
SQL JOIN 1. JOIN - 두 개의 테이블을 엮어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음 - JOIN은 크게 내부 조인(INNER JOIN), 외부 조인(OUTER JOIN) 으로 나눌 수 있음 2. INNER JOIN (내부 조인) - 두 테이블에 모두 데이터가 있어야만 결과가 출력됨 SELECT FROM INNER JOIN ON 3. OUTER JOIN (외부 조인) - 외부 조인은 한 쪽에만 데이터가 있어도 결과가 출력됨 - 조인 조건에 맞지 않더라도 특정 테이블의 모든 정보가 다 나오게 하고 싶을 때 아우터 조인을 사용 ※ 테이블 위치에 따라 왼쪽을 기준으로 보고 싶으면 LEFT, 오른쪽은 RIGHT (먼저 나온 테이블을 왼쪽으로 봄) SELECT FROM JOIN ON
SQL 활용3 1. 그룹핑 - 특정 컬럼을 기준으로 그룹을 나누어 모든 행을 하나의 그룹으로 편입시켜 그룹별로 집계할 때 사용 ※ ~별 ~결과를 본다 할 때, 자주 사용함 # Country 별로 회원수를 조회 (Count는 중첩 수) SELECT Country, COUNT(Country) FROM Customers GROUP BY Country; # Country별, City별 회원수를 조회 SELECT Country, City, COUNT(City) FROM Customers GROUP BY Country, City 2. HAVING - SELECT문의 순서 - FROM > WHERE > GROUP BY > HAVING > SELECT > ORDER BY - WHERE가 GROUP BY 보다 먼저 실행..
파일 상세 정보와 권한 정보 1. 파일 상세 정보의 의미와 권한 정보 - ls -l 로 보는 파일의 상세정보는 다음과 같음 - 권한의 가장 앞쪽은 파일 유형 - l : 링크 - d : 디렉터리 - - : 파일 - 그 뒤의 3개는 소유자의 권한 (순서대로 r, w, x) - r : 읽기 권한 - w : 쓰기 권한 - x : 실행 권한 - - : 권한 없음 - 그 뒤의 3개는 그룹의 권한이고 그 다음의 3개는 유저의 권한 2.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법 - 3자리 이진수를 이용해 권한을 마스킹 할 수 있음 - 이진수에서 1은 True, 0은 False를 의미하고 이는 권한의 유무로 판별됨 - 1 : True, 권한 있음 - 0 : False, 권한 없음 - ex) - rwx → 111 → 7 - r-x → 10..
PuTTY 사용방법 1. shutdown, reboot - shutdown : 서버 종료 - reboot : 서버 재가동 ※ 위 명령어는 원격 접속 환경임을 감안하여 유의해서 사용해야 함 - 컴퓨터가 꺼지면 원격 접속이 되지 않아 직접 켜야 함 - 랜카드 자동 on 설정이 되어 있지 않으면 재가동시에도 원격 접속이 되지 않음 → LAN 카드를 부팅될 때, 자동으로 ON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수정함 2. yum - 패키지 매니저 - 리눅스에서 패키지(프로그램)를 설치 or 업데이트 or 제거 등을 담당 ※ 원격 저장소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활성화 되어 있어야 함 - yum을 이용해 mlocate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 : yum install mlocate 3. mloc..
리눅스 원격 제어※ 그 전에 네트워크 관련 용어에 대해 간략히 정리 1. 도메인과 ip - ip : 인터넷에서 해당 컴퓨터의 주소 - 도메인 : ip는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루기 불편함 → ip를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문자로 매핑해 놓은 것이 도메인임 2. Virtual Box의 네트워크 구조 - Virtual Box는 기본적으로 NAT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함 ※ NAT 방식 :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 방식 - 라우터(여기서 라우터는 HOST PC)가 발급한 사설 ip를 이용 - 사설 ip는 외부에서의 접근이 불가능 (보안때문) 3. PORT - 운영체제 안팎의 프로그램의 소통하는 통로 - 운영체제 안에는 여러 프로그램이 구동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