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DB 무결성 종류 1. DB 무결성의 종류 종류 설명 개체 무결성 한 엔터티에서 같은 기본 키(PK)를 가질 수 없거나, 기본 키(PK)의 속성이 NULL을 허용할 수 없음 참조 무결성 외래 키가 참조하는 다른 개체의 기본 키에 해당하는 값이 기본 키 or NULL 이어야 함 속성 무결성 속성의 값은 기본값, NULL 여부, 도메인(데이터 타입, 길이)이 지정된 규칙을 준수해야 함 사용자 무결성 사용자의 의미적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함 키 무결성 한 릴레이션에 같은 키값을 가진 튜플들을 허용할 수 없음
선형 구조 1. 선형 구조의 종류 구조 설명 스택 (Stack)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 삭제가 진행되는 선형 자료 구조 (LIFO) 큐 (Queue) 한쪽에서는 삽입 작업, 다른 한쪽에서는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 데크 (Deque)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의 양쪽 끝에서 모두 발생하도록 구성 2. 그래프 계산법 ​- 이진트리의 계산법 : (2^n - 1) (깊이가 N일 때, 노드의 수) - 방향 그래프 계산법 : n(n-1) - 무방향 그래프 계산법 : n(n-1) / 2
1. 뷰를 생성하는 명령어 - CREATE VIEW 뷰이름 AS 조회쿼리;
※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제 4판 책을 참고 ※ 요약해서 정리하였으므로, 원하는 내용이 없을 가능성 있음 ※ 자세한 내용은 DBMS 카테고리 참조 ch.1 데이터베이스 기본 트랜잭션 1 트랜잭션 1 트랜잭션 1 1. 트랜잭션 - DB 시스템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작업의 기본 단위 2. 트랜잭션의 특성 특성 설명 원자성 (Atomicity) 트랜잭션을 구성하는 연산 전체가 모두 newbean-j.tistory.com 트랜잭션 2 트랜잭션 2 1. 데이터 정의어 (DDL :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를 정의하는 언어로서 데이터를 담는 그릇을 정의하는 언어 2. DDL의 대상 DDL 대상 설명 도메인 (Domain) - 하나의 속성이 가질..
1. 절차형 SQL - SQL 언어에서도 절차 지향적인 프로그램이 가능하도록 하는 트랜잭션 언어 2. 절차형 SQL 종류 종류 설명 프로시저 (Procedure) 일련의 쿼리들을 마치 하나의 함수처럼 실행하기 위한 쿼리의 집합 사용자 정의 함수 (User-Defined Function) 일련의 SQL 처리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단일 값으로 반환할 수 있는 절차형 SQL 트리거 (Trigger) DB 시스템에서 삽입,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
시스템 보안 구현 1.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솔루션 설명 방화벽 (Firewall) 미리 정의된 보안 규칙을 기반으로 외부로부터 불법 침입과 내부의 불법 정보 유출을 방지하고, 내/외부 네트워크의 상호 간 영향을 차단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 침입 탐지 시스템 (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모니터링하고 비인가 사용자에 의한 자원접근과 보안 정책 위반 행위(침입)를 실시간으로 탐지 침입 방지 시스템 (IPS : Intrusion Prevention System)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 or 침입을 실시간적으로 차단하고, 유해 트래픽에 대한 조치를 능동적으로 처리 2. 시스템 보안 솔루션 솔루션 설명 스팸 차단 솔루션 (Anti-Spam Solutio..
다중 행 연산자 1. 다중 행 연산자 연산자 설명 IN 리턴되는 값 중에서 조건에 해당하는 값이 있으면 참 ANY 서브쿼리에 의해 리턴되는 각각의 값과 조건을 비교하여 하나 이상을 만족하면 참 ALL 값을 서브쿼리에 의해 리턴되는 모든 값과 조건값을 비교하여 모든 값을 만족해야만 참 EXISTS 메인 쿼리의 비교 조건이 서브 쿼리의 결과 중에서 만족하는 값이 하나라도 존재하면 참
1. 키의 종류종류설명기본 키 (Primary)후보 키 중에서 선택받아 테이블의 튜플들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키대체 키 (Alternate)후보 키 중에서 기본 키로 선택되지 않은 키후보 키 (Candidate)유일성과 최소성을 모두 만족하는 키슈퍼 키 (Super)유일성은 만족하지만, 최소성은 만족하지 못하는 키외래 키 (Foreign)한 릴레이션의 컬럼이 다른 릴레이션의 기본 키로 이용되는 키
무선랜 통신(IEEE802.11)의 암호화 기술 1. 무선랜 통신(IEEE802.11)의 암호화 기술 기술 설명 WEP (Wired Equivalent Privacy) 초기 와이파이 암호화 통신 규약 WPA (Wi-Fi Protected Access) 기존 WEP의 취약성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기술 규격 TKIP (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 (임시 키 무결성 프로토콜) 초기 Wi-Fi 장비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불안전한 WEP 암호화 표준을 대체하기 위한 암호 프로토콜 WPA2 (Wi-Fi Protected Access 2) 와이파이 보안 표준인 IEEE802.11i 규격이 등장하면서, 이 규격에 맞춘 보안기술 WPA3 (Wi-Fi Protected Access 3) WP..
※ 수제비 2022 정보처리기사 실기 제 4판 책을 참고 ※ 요약해서 정리하였으므로, 원하는 내용이 없을 가능성 있음 ch.1 운영체제 특징 운영체제 종류 운영체제 종류 1. 운영체제 - 사용자가 컴퓨터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주는 SW 2. 운영체제 특징 - 편리성 제공, 인터페이스 기능, 스케줄링, 자원 관리, 제어 기능 3. 윈도즈 운영 newbean-j.tistory.com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활용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활용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 활용 1. 윈도즈 운영체제의 기본 명령어 명령어 설명 ATTRIB 파일 속성을 표시 or 바꿈 CALL 한 일괄 프로그램에서 다른 일괄 프로그램을 호출 CD 현재 디렉터리 이름을 보여주 newbean-j.tistory.com..
응용 시스템 개발 인프라 구축 1. 개발환경 인프라 구성 방식 구성방식 설명 온프레미스 방식 (On-Pramise) 외부 인터넷망이 차단된 상태에서 인트라넷 망만을 활용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식 클라우드 방식 (Cloud)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클라우드 공급 서비스를 하는 회사들의 서비스를 임대하여 개발환경을 구축하는 방식 하이브리드 방식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네트워크 전달 방식 1. 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 - 작은 블록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만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도록 하는 통신 방식 2. 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 구분 설명 데이터그램 방식 헤더에 붙어서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비연결형 교환 방식 가상회선 방식 목적지 호스트와 미리 연결 후, 통신하는 연결형 교환 방식 3. X.25 - 통신을 원하는 두 단말장치가 패킷 교환망을 통해 패킷을 원활히 전달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4. 프레임 릴레이 - ISDN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 ITU-T에 의해 표준으로 작성됨 -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5.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비동기 전송모드, 광대역 전송에 쓰이는 스위칭..
네트워크 프로토콜 파악 1. 프로토콜 - 서로 다른 시스템 or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활히 하기 위한 표준화된 통신 규약 - 컴퓨터 메시지를 전달하고, 도착했는지 확인하며, 도착 못할 경우, 매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련의 방법 (기술적 은어) 2. 프로토콜의 3요소 기본 3요소 설명 구문 데이터 형식, 코딩, 신호 레벨등의 규정 의미 조정, 에러처리를 위한 규정 타이밍 속도 조절, 순서 관리 규정 3. 네트워크 프로토콜 - 컴퓨터 or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세계 - 프로토콜의 특징 특징 설명 단편화 전송 가능한 작은 블록으로 나누는 기법 재조립 단편화되어 온 조각들을 원래 데이터로 복원 캡슐화 상위 계층의 데이터에 각종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보냄 연결..
네트워크 계층 구조 파악 1. 네트워크 -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or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인프라 2. OSI 7계층 계층 계층 이름 설명 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 0과 1의 비트 정보를 회선에 보내기 위한 신호 변환 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 인접 노드 간 데이터 전송, 전송 오류 제어 - 동기화,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회선 제어 3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 단말기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적화된 경로 제공 4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송수신 프로세스 간의 연결 - 신뢰성 있는 통신 보장 - 데이터 분할, 재조립,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혼잡 제어 5 세션 계층 (Session Laye..
운영체제 핵심 기능 파악 1. 메모리 관리 기법 기법 설명 반입 기법 메모리로 적재 시기 결정 배치 기법 메모리로 적재 위치 결정 할당 기법 메모리로 적재 방법 결정 교체 기법 메모리 교체 대상 결정 2. 메모리 배치 기법 기법 설명 최초 적합(First-fit) 가용 공간 중 첫 번째 분할에 할당 최적 적합(Best-fit) 가장 크기가 비슷한 공간에 할당 최악 적합(Worst-fit) 가장 큰 공간에 할당 ※ 페이지 교체 기법 유형 기법 설명 LRU (Least Recently Used) 사용된 시간을 확인하여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선택하여 교체하는 기법 LFU (Least Frequently Used) 사용된 횟수를 확인하여 참조 횟수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선택하여 교체하는 기법 3..
NewBean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