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 Study/반응형 웹

플렉서블 박스 (Flexible Box) 1. 플렉서블 박스 - 박스 요소들을 다양하고 자유롭게 조작 및 배치할 수 있는 기술 - 다른 속성들과 달리 박스의 배치 순서를 변경하거나 자유롭게 바꾸는 것이 가능 ※ 부모 박스를 플렉서블 박스, 그의 자식 박스를 플렉스 아이템이라고 함 ※ 자세한 내용은 Front-End Study/HTML+CSS에서 flex 관련 속성 정리 참조
뷰포트 (Viewport) 1. 뷰포트 - 화면에서 실제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 - 뷰포트는 메타 태그를 이용해 화면의 크기 or 비율을 조절 2. 뷰포트 속성 속성명 속성값 속성 설명 width device-width, 양수 뷰포트의 너비를 지정 height device-height, 양수 뷰포트의 높이를 지정 initial-scale 양수 뷰포트의 초기 배율 지정 (기본값 1) (축소 < 1 < 확대) user-scalable yes, no 뷰포트의 확대/축소 여부 지정 minimum-scale 양수 뷰포트의 최소 축소 비율 지정 (기본값 0.25) maximum-scale 양수 뷰포트의 최대 확대 비율 지정 (기본값 5.0)
미디어 쿼리 1. 미디어 쿼리 - 화면의 크기나 환경에 따라 웹사이트를 변경하는 기술 2. 기본 문법 - 미디어 쿼리를 작성할 때는 기본적인 순서와 규칙을 따라야 함 → @media [only 또는 not] [미디어 유형] [and 또는 , 콤마] (조건문) {실행문} - @media : 미디어 쿼리 문법의 시작을 알리는 부분 - [only 또는 not] - only 키워드 : 미디어 쿼리를 지원하는 브라우저에서만 미디어 쿼리를 해석하게 해주는 키워드 - not 키워드 : not 다음에 오는 조건을 부정하는 키워드 - 미디어 유형 : 미디어별로 적용할 CSS를 따로 작성함. 미디어 유형은 다음과 같음 기기명 설명 all 모든 장치 print 인쇄 장치 screen 컴퓨터 화면 장치 or 스마트 기기 화면..
가변 이미지 1. 가변 이미지 - 이미지 또한, 브라우저 비율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음 (동영상도 가능) See the Pen Tistory_Front-End Study_반응형 웹_가변 이미지_1. 가변 이미지 by NewBean0312 (@newbean6775) on CodePen.
가변 font 1. 가변 font - 폰트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설정이 가능함 - 가변 폰트는 가변 그리드 공식과 같음 → 가변 폰트값 = (가변 폰트를 적용할 글자 크깃값 ÷ 적용할 요소를 감싸고 있는 요소의 글자 크깃값) - 예시) 글자 크기 96px으로 적용된 박스가 있고 그 박스안에 글자 크기 64px의 박스를 적용 See the Pen Tistory_Front-End Study_반응형 웹_가변 font_가변 font_1. 가변 폰트 by NewBean0312 (@newbean6775) on CodePen. 2. rem 단위 - 앞에서 사용한 em 단위는 자신의 부모 박스에 글자 크기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 자식 박스에게 글자 크기가 상속됨 - rem 단위는 웹 문서의 최상위인 태그를 기준으로 하기..
가변 margin, 가변 padding (margin과 padding 정리 → 박스 모델(Box Model)) 1. 가변 margin - 마진의 간격을 가변으로 설정이 가능함 - 가변 마진은 가변 그리드 공식과 같음 → 가변 마진값 =(가변 마진을 적용할 마진값 ÷ 적용할 박스를 감싸고 있는 박스의 가로 너비) x 100 - 예시) 300px 두개의 박스 사이에 가변 마진을 설정 #wrap { width: 90%; /* 960px */ height: 500px; margin: 0 auto; border: 4px solid black; } #wrap div { display: inline-block; width: 31.25%; /* 300px ÷ 960px */ height: 100%; } #wrap di..
가변 그리드 (Fluid Grid) 1. 가변 그리드 - 가변적 : 객체 or 물체 or 사물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거나 성질이 변하는 것 - 그리드 : 격자나 눈금 (웹에서의 그리드는 가로 or 세로 크기, 여백, 단 수 등 구조 설계를 위한 것을 뜻함) 2. 가변 그리드 공식 - 정확한 가변 크기의 박스를 만들기 위해선, 공식이 존재 → 가변 크기의 %값 = (가변 크기로 만들 박스의 가로 너비 ÷ 그 박스를 감싸고 있는 박스의 가로 너비) x 100 -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테두리 박스의 너비가 960px이고 노란 박스의 너비가 300px이면, (300 ÷ 960) x 100 = 31.25% 3. 서로 다른 크기의 박스를 가변 크기로 변환 - 960px의 테두리 박스 안에 각 300px, 600px..
반응형 웹 1. 반응형 웹 - PC, 태블릿, 스마트 폰 등 기기 or 환경마다 최적화된 웹사이트 - 웹사이트의 구조를 기기에 맞는 화면에 최적화된 구조로 변경하여 보여줌 ※ 사용하는 것은 HTML+CSS 페이지와 동일하나, 집중적으로 파기 위해 반응형 웹만 따로 개설하였음 ※ 반응형 웹을 공부하기 전, HTML+CSS 페이지를 먼저 공부하는 것을 권장함 ※ Do it! 반응형 웹 만들기 서적을 참고하였음
NewBean
'Front-End Study/반응형 웹'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