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 Language

데이터 분석 과정 1. 데이터 분석 과정 - 데이터를 분석하는 목적은 데이터가 포함하고 있는 유용한 정보를 파악하여,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 데이터 분석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단계 : 문제 정의 및 계획 - 문제가 명확해야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가 어떤 것인지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 어떤 분석 기법을 적용할 지도 계획할 수 있습니다. - 문제 정의가 구체적이고 명확할수록 데이터 분석이 방향을 잃지 않고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2단계 : 데이터 수집 - 문제가 정의되면,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 데이터는 다양한 소스에서 나올 수 있으며, 내부 데이터베이스, 외부 데이터 제공업체, 웹 ..
빅데이터(Big Data) 1. 빅데이터(Big Data) - R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전에, 빅데이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빅데이터란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의 데이터 수집, 저장, 관리, 분석 역량을 넘어서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 빅데이터는 주로 세 가지 특성에 기반하여 정의됩니다. 이러한 특성을 3V라고 합니다. 2. 빅데이터의 특성 (3V) - 규모(Volume) - 빅데이터는 대량의 데이터를 다룹니다. 전통적인 DB 시스템에서 처리하기 어려운 정도의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다양성(Variety) - 빅데이터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 구조화된 데이터, 반구조화된 데이터, 비구조화된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빅데이터의 일부입니다. 구조 예시 구조화된..
중첩 반복문 1. 중첩 반복문 - 반복문 내부에 또 다른 반복문이 표현되어 있는 형태 2. while 문 안의 while 문 중첩 구조 3. while 문 안의 for 문 중첩 구조 # Example while True : num = int(input('단 입력(종료:0) ')) if num == 0 : break i = 1; while i
기타 제어문 1. 기타 제어문 - 기타 제어문에는 break 문과 continue 문, pass 문이 있음 2. break 문 - break 문을 이용한 강제 종료 - for 문이나 while 문 안에 명령문1을 실행하다가 탈출 조건식 결과에 따라 True이면 break문을 만나게 됨 - 그렇게 되면 명령문 2를 실행하지 않고 for 문 or while문을 벗어나 다음 명령문을 실행 - 탈출 조건식 결과가 False이면 for 문 or while 문의 반복 실행 구간을 계속 실행 # Exameple while True : num = int(input('번호 입력(종료0): ')) if num == 0 : print('while 무란로프 종료...') break print('while 무한로프 반복중') ..
반복문 1. 반복문 - 반복문은 for문과 while문이 있음 - for 문 - 범위의 횟수 동안 특정 문장을 여러 번 반복하여 실행하는 반복문 - while 문 -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특정 문장을 여러 번 반복 실행 - 조건식의 결과가 False이면 반복문을 종료 2. for 문 - for 문의 기본 구조 # Example1 # *이 하나씩 증가시키는 프로그램 for i in range(5) : print('*' * (i+1)) # Example2 # odd 리스트에서 항목을 하나씩 가져와 반복 실행하는 프로그램 odd = [1, 3, 5, 7, 9] for i in odd : print(i + 1, end=' ') # 2, 4, 5, 8 ,10 # Example3 # 문자열을 이용한 반복 출..
Ⅲ. 중첩 선택문 1. 중첩 선택문 - 파이썬 선택문에서는 if문 안에 또 다른 if 문을 중첩하여 표현하는 중첩 선택문임 - 다음은 if문의 조건식이 True일 경우, 다음 if문을 실행함 - 다은은 if문의 조건식이 False일 경우, 다음 if문을 실행함
Ⅱ. 조건식 및 구조 1. 조건식 - 관계연산자와 논리연산자를 이용하여 표현 - 조건식을 만족하면 True, 만족하지 않으면 False의 결과 값을 가짐 2. if 문의 구조 - if 문의 조건식 결과가 True라면 명령문1을 실행 - 조건식의 결과가 False라면 명령문1을 건너 뛰고, if문 다음 명령문을 실행 3. if ~ else 문의 구조 - if 문의 조건식 결과가 True 라면 명령문1을 실행하고 if 문 다음 명령문을 실행 - if 문의 조건식 결과가 False 라면 명령문2를 실행하고 if문 다음 명령문을 실행 # Example1 member = input('회원이십니까?(y/n) ') if member == 'y' : print('어서 오십시오.') # 결과 : # 회원이십니까?(y/n..
Ⅰ. 선택문 1. 선택문 - 제어문 : 조건식에 만족하는 동안 특정 구간을 한번 or 여러 번 반복하여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문장 - 파이썬의 제어문은 선택문과 반복문으로 나뉨 2. 선택문의 형태 - if, if~else, if~elif, if~elif~else, if~in~else 등이 있음 ※ 선택문의 규칙 - #1. if 문의 조건식들은 논리 연산이 가능한 문장으로 참 거짓 판별이 가능하도록 작성해야 함 - #2. if 문의 조건식 끝에는 항상 :(콜론)이 있어야 함 - #3. 실행 코드는 반드시 공백으로 들여쓰기를 하여 if 문에 포함되는 코드로 작성해야 함
Ⅲ. 세트 자료형 1. 세트 자료형 -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 없음 - ex) 세트명 = { } # Example a = {10, 20, 30} print(a) # {10, 20, 30} b = {10, 20, 30, 20} print(b) # {10, 20, 30} (중복은 X) c = set([10, 20, 30]) print(c) # {10, 20, 30} 2. 세트의 연산 - & or intersection( ) : 교집합 - | or union : 합집합 - - or difference : 차집합 # Example A = {10, 20, 30} B = {20, 40} # 교집합 print(A &..
Ⅱ. 출력 함수(printf) 1. 출력 함수(printf) -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 #include int main(void) { printf("Be happy");// 문자열 출력 printf("My friend"); return 0; } // 결과 : // Be happyMy friend 2. printf 함수로 제어 문자 출력 제어문자 의미 기능 \n 개행 (New Line) 줄을 바꿈 \t 탭 (Tab) 출력 위치를 다음 탭(Tab)위치로 옮김 \r 캐리지 리턴 (Carriage Return) 출력 위치를 줄의 맨 앞으로 옮김 \b 백스페이스 (Back Space) 출력 위치를 한 칸 왼쪽으로 옮김 \a 알럿 (Alert) 경보 벨(Bell)소리를 냄 // Example #include..
Ⅱ. 튜플 & 딕셔너리 1. 튜플 자료형 - 한번 저장된 값은 수정할 수 없는 자료형 (읽기 전용의 데이터를 저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 - ( ) 안에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을 콤마(,)로 구문해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는 컬렉션 자료형 -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를 이용해 접근할 수 있고 한 번 저장된 요소는 변경할 수 없음 - ex) 튜플명 = (값1, 값2, 값3, ...) 2. 튜플의 인덱싱(Indexing) 및 슬라이싱(Slicing) - 저장된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없다는 점만 제외하면 리스트와 완전히 동일함 # Example a = (10, 20, 30, 40) print(a[0]) # 10 print(a[-1]) # 40 print(a[1:]) # (20, 30, 40) print(a[:2]..
Ⅰ. 리스트 자료형 1. 컬렉션 자료형 - 컬렉션 -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에 담을 수 있음 - 변수 안에 공간을 여러 개 가짐 - 변수 안에 서로 다른 공간을 찾는 방법이 있음 2. 컬렉션 자료형의 종류 컬렉션 자료형 종류 생성방법 리스트(list) [ ] 튜플(tuple) ( ) 딕셔너리(dictionary) {키:값} 세트(set) { } 3. 리스트 자료형 - 많은 양의 데이터들을 한 번에 모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저장할 수 있음 - 하나의 리스트 변수를 이용하여 여러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처리 4. 리스트 문법 - 대괄호[ ] 안에 서로 다른 자료형의 값을 콤마(,)로 구분 → ex) 리스트명 = [값1, 값2, 값3, ...] - 빈 리스트 생성과 리스트 초기화 # Example ..
기본자료형 1. 자료형 - 자료의 종류를 구분해 놓은 것 - 자료의 종류를 구분한 이유 → 컴퓨터에게 어떻게 연산을 하는지 알려주기 위해 자료의 타입을 구분함 2. 수치자료형 - 정수(int)와 실수(float)로 구분 3. 수치 자료형의 특징 - input함수를 사용 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string으로 인식됨 ※ type함수를 사용하면 자료 형의 타입을 확인 할 수 있음 # Example num = input('수를 입력하세요 : ') print(type(num)) # 결과 : # 수를 입력하세요 : 45 # (str은 문자열) - 입력 받은 값을 숫자형식으로 변경하려면 원하는 값 형태로 강제 형 변환을 함 - 정수형으로 입력 받기 위해서는 int( )를 사용 # Example num1 = in..
Ⅰ. main 함수 구조 1. main 함수 - main 함수는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곳으로 프로그램에 반드시 있어야 함 - 기본 구조 2. 주석 - 한 줄 주석 : // - 여러 줄 주석 : /* */ 3. 규칙 - 세미클론(;)을 사용하여 문장의 끝을 표시 - 한 줄에 한 문장씩 작성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들여씀
입력과 출력 1. 입력 - input( ) 함수를 이용한 표준 입력 # Example input('이름 입력: ') # 이름을 입력함 - input( ) 함수로 입력 받은 자료 저장 ※ 다음 예제에 10을 입력하면 숫자 10이 아닌 문자 10이 입력됨 # Example name = input('이름 입력: ') print(name)# 입력한 값이 출력 # 결과 : # 이름 입력: 홍길동 # 홍길동 - 문자열로 입력받은 자료의 더하기 연산 (문자열 연결) # Example a = input('첫 번째 숫자 입력: ') b = input('두 번째 숫자 입력: ') print(a + b) # 결과 : # 첫 번째 숫자 입력: 10 # 두 번째 숫자 입력: 20 # 1020 - 문자열로 입력 받은 자료를 정수..
NewBean
'Programming Language'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