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PI를 사용하기 위해, 여러 사이트를 찾아본 경험이 있을거에요. 저도 프로젝트에 필요한 여러 Open API를 찾던 도중, 좋아 보이는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1. 문화공공데이터광장 문화공공데이터광장 바로가기 문화공공데이터광장 www.culture.go.kr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문화공공데이터가 무엇일까요? 문화공공데이터란? 문화체육관광부 및 타 부처, 지자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유산, 예술, 체육, 관광, 한글 문화재 등 다양한 문화 분야의 공공데이터를 의미합니다.즉 , 정부는 공공데이터 개방을 통해 사용자의 창의성 및 혁신적 아이디어와 결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에요! 2. 사용방법그럼 사용해 봐야겠죠!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2-..
1. API지금부터 REST API에 대해 알아봅시다!그 전에 먼저 API란 무엇일까요?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 or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API를 불러오는 과정은 사용자(웹 서비스)가 API에게 정보 요청을 하면, API는 제공자(DB)에게 요청을 전달합니다.그 다음, 제공자가 API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고 API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즉, 간단히 말해 클라이언트가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어떤 주소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응답을 해주는 체계입니다.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요청의 종류는 크게 4가지로 분류됩니다. 이를 합쳐 C..
Express로 todo 리스트 만들기 3 1. todo 리스트 데이터 생성 이번엔 todo 리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만들어 봅시다. #1. app.js에 들어가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해 줍니다. import express from "express"; import cors from "cors"; import mysql from "mysql2/promise"; // DB 설정 // const pool = mysql.createPool({...}); const app = express(); app.use(express.json()); // CORS 미들웨어 추가 app.use(cors()); const port = 3000; // 데이터 조회 // app.get(...); // 데이터 단건조회 //..
Express로 todo 리스트 만들기 2 1. Express로 todo 리스트 조회하기 이제 todo를 조회하는 기능을 만들어봅시다. #1. VSCode의 터미널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mysql2를 설치해 줍니다. npm i mysql2 #2. app.js에 들어가서 다음과 같이 입력해 줍니다. import express from "express"; import cors from "cors"; import mysql from "mysql2/promise"; // DB 설정 const pool = mysql.createPool({ host: "localhost", user: "newbean", password: "juv0312", database: "todo_2024_02", waitForConnect..
Express로 todo 리스트 만들기 1. Express로 todo 리스트 만들기 Express를 사용하여 todo 리스트를 만들어 봅시다! #1. git에 올릴 repository와 작업할 폴더를 만들어 줍시다. (저는 todo-backend-2024-02라고 만들었습니다.) #2. VSCode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express를 설치해줍니다. npm i express #3.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package.json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import를 사용할 수 있게 설정합니다. { "dependencies": { "express": "^4.18.2" }, "type" : "module" } #2. 그 다음, app.js 파일을 생성한 후, 다음과 같이 입력해 줍니다. import e..
SourceTree로 원격 브랜치 다루기 1. SourceTree로 레포지터리 연결하기 이번엔 SourceTree로 레포지터리를 연결해 봅시다. #1. GitHub에 들어가서 새 레포지터리를 생성해줍니다. (저는 git-another-study로 설정하였습니다.) #2. 레포지터리 주소를 복사한 후, SourceTree에 들어가 상단 메뉴에 저장소를 누르고 원격 저장소 추가를 클릭합니다. #3. 창이 뜨면, 추가 버튼을 누르고 원격 이름에 origin2, URL / 경로를 전에 복사한 주소를 붙여넣기 합니다. → 그러면 origin2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그럼 이제 상단 메뉴에서 Push를 누른 후, origin2로 변경한 뒤, Push 버튼을 클릭해 줍니다. → 그러면 정상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