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랜치 간 충돌 1. 브랜치 간 충돌 파일의 같은 위치에 다른 내용이 입력된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한번 알아봅시다. #1. 일단 먼저,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conflict-1와 conflict-2 브랜치를 생성해줍니다. git branch conflict-1 # (2도 동일) #2. main 브랜치에서 Tigers의 manager를 Jeon으로, Bears의 coach를 Choi로, Panthers의 coach를 Lee로 변경한 후, 다음과 같이 커밋 메시지를 입력하여 커밋합니다. git commit -am "Edit Tigers, Bears, Panthers" #3. conflict-1 브랜치로 변경 후, Tigers의 manager를 Jung으로 변경하고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커밋합니다. ..
merge와 rebase 1. merge 브랜치를 병합하는 merge에 대해 알아봅시다! merge란? 서로 다른 브랜치의 변경 사항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다양한 브랜치에서 개발한 내용을 메인 브랜치로 합치기 위해 merge를 사용합니다. 2. 사용방법 그럼 이제 merge를 사용해봅시다. git merge 브랜치명을 입력하면 됩니다. #1. main 브랜치 상태에서 합칠 대상의 브랜치를 골라 다음과 같이 입력해줍니다. (add-coach를 선택했습니다.) git merge add-coach → 그러면 add-coach 브랜치에서 한 작업이 main 브랜치와 병합하게 됩니다. → 또한, SourceTree에서 보면 합쳐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merge도 하나의 커밋이기 때문에,..
1. 브랜치(branch)이번엔 브랜치(branch)에 대해서 알아봅시다!브랜치란? 코드의 분리된 작업 흐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각 브랜치는 프로젝트의 기능 or 수정을 담당하는 독립적인 코드 세트입니다.브랜치를 사용하면,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거나 특정 기능을 개발하면서도 기존 코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2. 브랜치 추가브랜치를 추가해봅시다.VSCode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브랜치를 추가해줍니다.git branch add-coach 터미널에 git branch라고 입력해봅시다. → add-coach가 추가 되었고 main이 현재 브랜치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브랜치를 변경해봅시다.git switch add-coach 그 다음 다시 git branch를..
reset과 revert 1. reset reset에 대해 알아봅시다! reset은 Git에서 변경 내용을 되돌리거나 작업 디렉토리를 이전 커밋 상태로 되돌리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reset을 이용하여, 이전 커밋 상태로 되돌아가봅시다! #1. git log를 입력한 후, Add team Dolphins의 커밋 일련번호를 복사해줍니다. (7글자만 복사하여도 가능합니다.) #2. git reset --hard 일련번호를 입력하여, 되돌립니다. → 다음과 같이 Add team Dolphins로 돌아왔다고 나타납니다. → 또한, panthers.yaml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revert 이번엔 revert에 대해 알아봅시다! revert란 이전 커밋을 취소하고, 그 변경 사항을 새로..
add와 commit 1. 타임캡슐에 담기 (add) 프로젝트의 변경사항들을 타임캡슐(버전)에 담아봅시다. #1. git add 파일명으로 파일을 타임캡슐에 담습니다. → git add tigers.yaml를 입력한 후, git status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hanges to be committed: 는 커밋할 준비가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번엔 git add .를 입력하여, 모든 파일을 타임캡슐에 담아봅시다. → git status를 입력해서 보면, 모든 파일이 커밋할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타임캡슐 묻기 (commit) 이번엔 타임캡슐을 묻어봅시다! #1. git commit 명령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2. 명령..
.gitignore 1. .gitignore .gitignore 파일은 Git 저장소에서 추적하지 않아야 하는 파일 or 디렉터리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설정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사용하면, Git이 특정 파일 or 디렉터리의 변경 내용을 추적하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보통 자동으로 생성 or 다운로드되는 파일들 (빌드 결과물, 라이브러리)나 보안상 민감한 정보를 담은 파일을 적용합니다. 2. 사용방법 이제 사용해봅시다! #1. VSCode에 secrets.yaml 파일을 만들고 다음과 같이 입력해줍니다. id: admin pw: 1234abcd #2. 그 다음, 터미널에 git status라고 입력하면, 3개의 파일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gitignore라는 파일을 생성 후..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